# Render, Webpack, Vuex

# Render with life cycle

Vue lifecycle diagram

  1. created, 데이터 초기화 (반응성-reactivity 주입)
  2. beforeMount, 'template' 속성을 render 함수로 변환
  3. beforeUpdate, 컴포넌트에서 사용되는 속성의 값이 바뀔 때 실행
render: function(creteElement) {
    // return createElement('태그 이름', '태그 속성값', '하위 태그 정보')
    return createElement('p', this.str) // reactivity를 반영
}
  • render 구현 방식
  1. tag에 있었을 때 (outerHTML)
  2. template 속성
  3. render 함수

참고

life cycle에서는 create, beforeMount, Mounted (window.addEventListener / bus.$on) 이 세 개를 많이 쓰고, 이벤트 해제 할 때에 beforeDestory를 사용 (window.removeEventListener / bus.$off)

# Webpack

웹팩 설명 유튜브 영상

여러 파일(모듈)을 묶어서 들고 오는 시간을 절약하는 것이 webpack의 목적

webpage timeline

각 요소가 포함하고 있는 contents

Gulp에서는

Gulp는 코드를 다 써서 구현하는 반면에

Webpack은

Webpack은 자체적으로 지원해주는 기능이 많고, Gulp보다 생태계가 훨씬 크다는 장점이 있다. 따라서 새로운 프로젝트라면 Webpack을 쓰는 것이 좋다.

Webpack을 쓰지 않았을 때 Webpack을 썼을 때

Webpack을 쓰지 않았을 때와 썼을 때의 차이를 비교해볼 수 있다.

번들링

웹페이지의 필요한 파일들을 static assets으로 바꾼다.

번들링(bundling)이란 합치는 것. Build와 같은 의미로 보아도 좋다.

# Webpack 실습

lodash 라는 라이브러리를 웹팩을 이용해 번들링하는 실습이다.

순서 참고

npm init -y
npm i webpack webpack-cli
npm i lodash
<script src="dist/main.js"></script>
import _ from 'lodash'; // 상대경로 없이 이름만 쓰면 library

lodash는 배열을 객체로 변환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. _ === lodash

package.json에 아래와 같이 추가

  "scripts": {
    "build": "webpack --mode=none"
  }
  1. npm run build

# Webpack Basic Concepts

  • entry는 시작 field를 의미
  • output은 기본으로 ./dist/main.js로 잡혀 있다.
  • loader는 비js 파일을 js 파일로 변환시켜준다.
    • module은 돌릴 때에 필요한 속성, rule은 변환할 때 규칙을 정의하는 것
  • plugins은 기본으로 지원하지 않는 부가적인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.
  • webpack의 추가 옵션들이 많아질 때 -> webpack.config.js로 관리
    • mode는 none / production / deveplopment로, webpack이 업데이트 되기 전에는 plugins으로 설정했으나 최신버전은 해당사항 없음, build를 위해 아래와 같이 설정
  "scripts": {
    "build" : "npm run bundle -- --mode=production"
  }
  • webpack 주요 속성

entry, loader, output, plugin

web 주요 속성

# Webpack Loader

exports.push([module.i, 'p {\r\n\tcolor: blue;\r\n}\r\n', '']);
  • js파일 안에 text로 기존에 들어올 수 없는 것을 추가시켜주는 것이 loader이다.

  • 즉, 비js 파일(css, images, fonts...)을 js파일로 변환시켜준다.

  • entry (index.js) -> (중간에 loader가 개입) -> output (dist/bundle.js)

  • IE 등 ES6 문법이 필요하다면 babel이 필요한데 babel CLI를 설치하면 복잡해지니까 webpack이 해당 작업을 해줄 수 있음.

{
      test: /\.js$/,
      use: 'babel-loader'
  },
  {
      test: /\.vue$/,
      use: 'vue-loader'
  }

module -> rule에 위와 같이 추가하면 된다.

  • loader는 적용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된다.
use: ['style-loader','css-loader'], // css -> style 순서로 적용이 된다.
Entrypoint main = bundle.js

[0] ./index.js 22 bytes {0} [built]

[1] ./base.css 261 bytes {0} [built]

위처럼 연관 관계 있는 것들을 하나씩 불러온다. dependency graph라고도 부른다.

브라우저의 개발자도구에 network 패널을 보면 DOMContentLoaded와 Load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, webpack을 사용하기 전후를 비교해보면 확연하게 시간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.

  • DOMContentLoaded : 기본적인 DOM 들만 들고오는 시간
  • Load : css 등 다 불러오는 시간

# Webpack Plugin

플러그인을 썼을 때 결과물에 추가적인 작업을 할 수 있다. (output뿐만 아니라, loader와 entry 단계에서도 적용 가능하다.)

  • html webpack plugin

해당 plugin github

chunk를 모두 html로 script 추가

new HtmlWebpackPlugin({
            // index.html 템플릿을 기반으로 빌드 결과물을 추가해줌
            template: 'index.html',
        }),
  • MiniCssExtractPlugin

css 파일을 별도의 파일로 분리 (css를 추출하는 플러그인)

# 개발용 라이브러리와 배포용 라이브러리 구분

  • 개발용 (devDependencies)
npm i webpack webpack-cli --save-dev
  • 배포용 (devDependencies)
npm I lodash –save

최종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어야하는 라이브러리는 -D로 설치하면 안 된다. eslint, webpack등이 개발용 라이브러리이다.

라이브러리 지울 때는 npm uninstall 명령어를 사용한다.

# Webpack Dev Server

  • 매번 수정하고 npm run build 하는 것은 굉장히 비효율적인 반복 작업이다.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, webpack dev server를 사용한다.
  • webpack dev server : 파일 입출력을 하지 않고, 해당 dist/bundle.js를 memory 위에만 올려놓고 사용 (local에서 확인할 수 없다)
  • npm run serve로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.
  • 추가적으로, webpack dev server를 이용하면 html, css, js 파일 뿐만 아니라, vue파일도 코드만 고쳤을 때 live server처럼 동일하게 화면을 갱신시켜줄 수 있다. webpack dev server에서 내부적으로 webpack 빌드를 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존재하긴 한다.

# Vuex

  • component와 달리 트리구조가 아니라 container(store)가 하나 존재하고, 거기에 값을 같이 접근하는 방식 -> 정확하게는 단일 상태 트리를 이용 Vuex State
  • React는 Redux, Mobx로 나누어진 반면, Vue는 Vuex만으로 상태를 관리. Mobx가 Vuex와 더 비슷하다고 한다.

Vuex State Diagram

Vue Project에서의 Vuex

단방향으로만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.

# State

  • vue에서의 상태 (state) : 여러 컴포넌트간 공유되는 data
  • 데이터가 많으면 한 곳에서 관리해야 한다. 상태 또한 component의 event처럼 규칙이 있다.
npm i vuex
// main.js에서
import Vuex from 'vuex';

Vue.use(Vuex);

const store = new Vuex.Store({
	state: {
		str: 'hi',
	},
});
// app.js에서
<p>{{ $store.state.str }}</p>

# Mutations

  • state는 data와 비슷하고, mutations는 method와 비슷하다.
  • 차이점은 data는 Vue 개발자도구에서 최종 값만 확인할 수 있고, state는 data의 각 시점의 변화(logging)를 볼 수 있다.
  mutations: {
    addStr(state) {
      state.str += '!';
    }
  • 다른 컴포넌트에 아래 코드처럼 입력하면, 같은 data를 바라보기 때문에, 한 번의 mutation으로 두 개의 component가 변경된다.
<div>
	<h1>HelloWorld의 뷰엑스 코드</h1>
	<button @click="$store.commit('addStr')">Vuex버튼</button>
	<p>{{ $store.state.str }}</p>
</div>
  • main.js : 전반적인 library, 프로젝트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 포함이 되어 있어야 한다. store나 router가 많아지면 한 눈에 보기 힘들기 때문에 src 폴더 밑에 store 폴더를 만들고 index.js에 store와 router를 포함시켜야 한다.

# Actions

fetch('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users/1')
	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	.then(json => (this.user = json)); // json 결과를 this.user에 담아 둔다.

위는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HTML request 방식이다.

  • 데이터 호출은 vuex에서 mutations이 아닌 actions으로 한다!
  • actions에 작성하는 함수는 전부 대문자로 작성 (ex> FETCH_USER)
  • mutations와 달리, actions에서 state로 갈 수 있는 길이 없다. mutations을 거쳐야만 가능하다.
  • mutations은 devtool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debugging도 용이하다.
    setUser(state, user) {
        // 두 번째 인자는 payload로도 많이 씀
        state.user = user;
    },
  },
  • context 객체 안에 commit이 포함되어 있다. 참고
actions: {
        FETCH_USER(context) {
            fetch('https://jsonplaceholder.typicode.com/users/1')
                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                .then(json => {
                    console.log(json);
                    context.commit('setUser', json); // context.commit('mutation name', json)
                });
        },
    },
  • actions을 호출할 때는 dispatch를 이용한다. mutations이 commit을 사용하는 것과 구별할 것.
<button @click="$store.dispatch('FETCH_USER')">get user</button>
<p>{{ $store.state.user }}</p>
  • Vue core library는 화면단의 데이터에 관한 기능을 중점 지원하지만, 프레임워크의 기능인 router, state, testing을 쉽게 할 수 있는 형태로 제공. Vue를 단지 library뿐만이 아닌, progressive framework라고 부르는 이유이다.

progressive framework로서의 Vue